메이쁘

(JAVA) 백준 16234번 : 인구 이동 본문

Algorithm/Baekjoon

(JAVA) 백준 16234번 : 인구 이동

메이쁘 2020. 4. 30. 00:40

https://www.acmicpc.net/problem/16234

 

16234번: 인구 이동

N×N크기의 땅이 있고, 땅은 1×1개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땅에는 나라가 하나씩 존재하며, r행 c열에 있는 나라에는 A[r][c]명이 살고 있다. 인접한 나라 사이에는 국경선이 존재한다. 모든 나라는 1×1 크기이기 때문에, 모든 국경선은 정사각형 형태이다. 오늘부터 인구 이동이 시작되는 날이다. 인구 이동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고, 더 이상 아래 방법에 의해 인구 이동이 없을 때까지 지속된다. 국경선을 공유하는 두 나라의 인구 차이가 L명

www.acmicpc.net

 

 

삼성 SW 기출 문제.

 

 

DFS 사용.

 

 

처음에 ArrayList를 사용했는데

 

메모리와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서

 

 

DFS 특성을 고려하여

 

같은 level인 경우에 level을 별도 2차원 int 배열 map에 표시해서 연합을 구분짓고

 

연합의 새로운 인구 배치를 위해 level을 index로 하는 int 1차원 배열을 이용했다.

 

 

 

그러니 어느정도 메모리와 실행 시간을 커버했다.. 휴..

 

 

 

 

매커니즘은 문제 흐름과 같고

 

코드 내 주석을 보면서 이해하면 되서 

 

 

이번에는 매커니즘을 생략하겠다. (!!!)

 

 

 

소스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 인구 이동 문제
// DFS ?
public class p16234 {
static int[][] map; // 각 구역 별 인구 수를 담은 맵
static boolean[][] checked; // 각 구역 방문 여부 판단하는 배열
static int[][] unionMap; // 각 구역의 Level(연합)을 나타내는 맵
static int[] newPeople; // Level 별 평등하게 분배될 인구 수를 갖고 있는 배열
static int dfsCount, n, l, r;
static int[] moveX = { 0, 1, 0, -1 };
static int[] moveY = { -1, 0, 1, 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valueOf(st.nextToken());
l = Integer.valueOf(st.nextToken());
r = Integer.valueOf(st.nextToken());
map = new int[n][n];
checked = new boolean[n][n];
unionMap = new int[n][n];
newPeople = new int[n * n];
for(int i = 0;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Arrays.fill(unionMap[i], -1); // 기본 값 초기화 : -1
for(int j = 0; j < n; j++) {
int people = Integer.valueOf(st.nextToken());
map[i][j] = people;
}
}
boolean isOpened = false;
// while문을 만족하면 하나라도 국경선을 열 수 있으므로 시작은 -1로 해야 0부터 시작된다.
int day = 0;
do {
int unionIndex = 0;
isOpened = false;
for(int y = 0; y < n; y++) {
for(int x = 0; x < n; x++) {
if(unionMap[y][x] == -1) {
dfsCount = 0; // 초기화
newPeople[unionIndex] = 0; // 초기화
open(x, y, unionIndex);
// 연합이 하나라도 있으면
if(dfsCount >= 2) {
isOpened = true;
// 평등화할 인구 구하기
newPeople[unionIndex] = (int) Math.floor(newPeople[unionIndex] / dfsCount);
}
unionIndex++;
}
}
}
// 경계를 열은 적이 없을 때 까지 반복
if(isOpened) {
day++;
setNewPeople();
}
}
while(isOpened);
System.out.println(day);
}
// DFS. 경계문을 여는 함수
static void open(int x, int y, int unionIndex) {
if(unionMap[y][x] != -1) {
return;
}
dfsCount++;
newPeople[unionIndex] += map[y][x];
unionMap[y][x] = unionIndex;
for(int i = 0; i < moveX.length; i++) {
int nextX = x + moveX[i];
int nextY = y + moveY[i];
// 맵 범위 예외 처리
if(nextX < 0 || nextX >= n || nextY < 0 || nextY >= n) {
continue;
}
// 아직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던 구역 찾기
if(unionMap[nextY][nextX] == -1) {
int gap = Math.abs(map[y][x] - map[nextY][nextX]);
if(gap >= l && gap <= r) {
open(nextX, nextY, unionIndex); // DFS
}
}
}
}
// 연합에 따라 인구 이동 함수 및 unionMap 배열 초기화
static void setNewPeople() {
for(int i = 0; i < n; i++) {
for(int j = 0; j < n; j++) {
map[i][j] = newPeople[unionMap[i][j]];
unionMap[i][j] = -1;
}
}
}
}
class Country {
int x;
int y;
public Country(int x, int y) {
this.x = x;
this.y = y;
}
}
view raw p16234.java hosted with ❤ by GitHub
Comments